728x90 분류 전체보기194 insertion sort 삽입정렬이란?- 정렬 대상을 두 부분으로 나눠서 정렬 안 된 부분에 있는 데이터를 정렬 된 부분의 특정 위치에 삽입해 가면서 정렬하는 알고리즘 Insertion Sort(삽입 정렬)이란 비효율 정렬(O(n^2))이지만, 한 가지 특징으로 인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흔히 비효율 정렬에는 대표적으로 3개가 있는데 바로 'Bubble Sort(버블 정렬)', 'Selection Sort(선택 정렬)', 'Insertion Sort(삽입 정렬)'이다. 이 중에서 선택 정렬은 버블 정렬보다 완벽히 상위 호환이므로, 버블 정렬을 정렬 알고리즘 분류에서 빼야 한다는 말도 있다. 선택 정렬의 알고리즘은 무척 간단하다. 각 단계별로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찾아 정렬하고 있는 위치에 저장한다.이전에 비교 방식에서 최소값 또.. 2017. 7. 3. 기초문법 정리 MS-SQL ** SQL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데이타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한다 주석을 다는 방법은 /* 주석 */ 이거나 한줄만 주석 처리를 할 경우는 문장 맨앞에 --를 붙인다 ** 각각의 데이타베이스의 SYSOBJECTS 테이블에 해당 데이타베이스의 모든 정보가 보관되어 있다 SYSOBJECTS의 TYPE 칼럼으로 'U'=사용자 테이블, 'P'=저장 프로시저, 'K'=프라이머리 키, 'F'=포린 키, 'V'=뷰, 'C'=체크 제약등 오브젝트 이름과 정보를 알 수 있다 데이타 검색 USE 데이타베이스명 /* USE 문을 사용한 데이타베이스 선택 */ SELECT * FROM 데이블명 /* 모든 칼럼 불러오기 */ SELECT TOP n * FROM 테이블명 /* 상위 n개의 데이타만 가져오.. 2017. 7. 3. assert 함수란 assert문을 사용한 Assertion(검증)은 주로 프로그램 흐름에서 코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을 지정할 수 있게 해주고, 이를 위반할 시에 AssertionError를 발생시켜주는 기능이다. 이러한 검증 기능은 Java 1.4부터 지원되는 기능인데 Java 1.4에서 Assertion 기능을 사용하려면 컴파일시에 명령프롬프트에서 -source 1.4 옵션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Java 1.4에서 assert문이 들어간 소스 파일 컴파일 하기javac -source 1.4 Test.java 물론 Java 1.5부터는 자동적으로 이를 인식하기 때문에 Java 1.5이상의 버전을 사용하는 사람은 이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그럼 시험삼아 아래의 간단한 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해보자. T.. 2017. 7. 3. 직렬화(serialization) 역직렬화(deserialization) 객체를 직렬화하여 전송가능한 형태로 만드는것객체들의 데이터를 연속적인 데이터로 변형하여 Stream을 통해 데이터를 읽도록 해준다.이것은 주로 객체들을 통째로 파일로 저장하거나 전송하고 싶을 때 주로 사용된다. 역직렬화는 직렬화된 파일 등을 역으로 직렬화하여 다시 객체의 형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저장된 파일을 읽거나 전송된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원래 객체의 형태로 복원한다. 직렬화를 위한 전제조건직렬화가 가능한 클래스를 만드는 것 public class A{} 이런형태라면 public class A implements Serializable{ } 1.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implements2. serializable 없는 경우 보통의 경우는 직렬화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클래스간의 관계.. 2017. 6. 30.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728x90